티스토리 뷰

목차



    MRI와 MRA의 차이점 총정리
    MRI와 MRA의 차이점 총정리

    MRIMRA는 모두 자기공명영상 기술을 이용한 검사법이지만, 촬영 목적과 확인하는 부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MRI와 MRA의 차이점, 검사 방법, 활용 질환, 장단점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MRI란?

    MRI와 MRA의 차이점 총정리

    • 정의: Magnetic Resonance Imaging(자기공명영상)의 약자로, 자기장을 이용해 인체의 단면을 영상으로 얻는 검사
    • 목적: 뼈, 근육, 신경, 장기 등 인체 연부 조직의 구조적 이상 확인
    • 주요 활용: 뇌종양, 뇌졸중, 척추 질환, 관절 손상, 종양·염증 진단
    • 장점: 방사선 노출이 없고, 다양한 단면 영상을 통해 정밀 진단 가능
    • 단점: 검사 시간이 길고, 금속 보형물이 있는 환자는 제한될 수 있음

    MRA란?

    MRI와 MRA의 차이점 총정리

    • 정의: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자기공명혈관조영술)의 약자로, MRI 기술을 활용해 혈관 상태를 영상으로 확인하는 검사
    • 목적: 혈관의 협착, 폐색, 기형, 동맥류 등 혈관 질환 진단
    • 주요 활용: 뇌혈관 질환(동맥류, 뇌출혈 위험), 경동맥 협착, 말초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 장점: 조영제를 쓰지 않고도 혈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 단점: 세부적인 혈관 병변은 CT 혈관조영술보다 제한적일 수 있음

    MRI와 MRA의 차이 비교

    MRI와 MRA의 차이점 총정리

    구분 MRI MRA
    정의 자기공명영상 (신체 내부 구조 확인) 자기공명혈관조영술 (혈관 상태 확인)
    목적 뼈, 근육, 신경, 장기 등 조직 진단 혈관의 협착, 폐색, 동맥류 진단
    검사 대상 종양, 뇌질환, 척추·관절 손상, 염증 뇌혈관 질환, 심혈관, 말초혈관 질환
    영상 특징 조직의 구조와 형태 중심 혈관 내 혈류와 모양 중심
    조영제 사용 경우에 따라 사용 비조영 MRA 가능, 필요 시 조영제 사용

    검사 선택 가이드

    MRI와 MRA의 차이점 총정리

    • 뇌졸중·뇌종양 등 뇌 구조 확인 → MRI
    • 뇌혈관 협착·동맥류 등 혈관 이상 확인 → MRA
    • 필요에 따라 MRI와 MRA를 함께 시행하여 종합 진단

     

    MRI는 뼈, 근육, 장기 같은 조직의 구조적 이상을 보는 검사이고, MRA는 혈관의 상태와 혈류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두 검사는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전문의 상담 후 적합한 검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