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혈소판은 혈액 속 작은 세포 조각으로,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출혈을 멈추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인 혈소판 수치는 보통 150,000~400,000/㎕ 사이이며, 이보다 낮아지는 상태를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이라고 합니다. 혈소판 수치가 낮으면 출혈 위험이 커지고, 작은 상처에도 쉽게 피가 멎지 않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혈소판 수치가 낮으면 나타나는 주요 증상
- 쉽게 멍이 듦 – 작은 충격에도 피부에 멍이 자주 생김
- 출혈 지속 – 상처가 나면 피가 잘 멈추지 않음
- 코피·잇몸 출혈 – 특별한 이유 없이 코피가 잦거나 양치할 때 잇몸에서 출혈
- 피부 출혈 반점(점상출혈) – 피부에 붉은색·보라색 점들이 나타남
- 생리 과다 – 여성의 경우 생리혈이 평소보다 많아지고 기간이 길어짐
- 소화기 출혈 – 심하면 혈변이나 혈뇨가 동반될 수 있음
- 피로감·무기력 – 반복되는 출혈로 빈혈 증상 동반
- 심한 경우 뇌출혈 – 극도로 낮을 때 두통, 시야 흐림, 의식 저하 발생 가능
혈소판 감소의 주요 원인
- 골수 기능 저하 –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항암제·방사선 치료
- 자가면역질환 – 면역체계가 혈소판을 공격 (예: ITP 자가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 바이러스 감염 – 간염, HIV, 독감, 에브스타인-바 바이러스 등
- 약물 부작용 – 일부 항생제, 진통제, 항응고제 등
- 알코올 남용 – 골수 억제 및 간 손상으로 혈소판 생성 저하
- 비장 비대 – 비장이 커져 혈소판이 과도하게 파괴되는 경우
혈소판 수치 낮을 때 위험성
- 경미 – 쉽게 멍, 코피, 잇몸 출혈
- 중등도 – 점상출혈, 생리 과다, 피로감
- 심각 – 소화기 출혈, 뇌출혈 등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
혈소판 수치 관리 방법
- 충분한 단백질과 비타민 B12, 엽산, 철분 섭취
- 알코올 섭취 줄이고 간 건강 관리
- 항응고제, 진통제(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 과다 복용 피하기
- 과격한 운동이나 외상 위험 활동 자제
- 정기적인 혈액검사로 상태 확인
- 심각한 경우 전문의 상담 후 약물·수혈 치료
혈소판 수치가 낮으면 나타나는 증상은 멍이 잘 들고, 코피·잇몸 출혈이 잦으며, 점상출혈, 생리 과다, 피로감, 심하면 소화기·뇌출혈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원인은 골수질환, 자가면역질환, 바이러스 감염,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하므로 반드시 원인을 파악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균형 잡힌 식습관과 정기적인 검사로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