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아침에 일어나면 눈가에 하얗거나 누런 덩어리가 붙어 있는 것을 본 적 있으신가요? 이를 흔히 ‘눈곱’이라고 부릅니다. 눈곱은 눈을 보호하고 세균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양이 많거나 색이 변하면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눈곱 끼는 이유와 함께 정상적인 경우와 질환 신호를 구분하는 법, 예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1. 눈곱의 형성과 역할
눈곱은 눈물 속 단백질, 기름 성분, 각질 세포, 먼지, 세균 등이 뭉쳐 생깁니다. 주로 수면 중 눈물이 마르면서 굳어져 아침에 발견됩니다. 눈곱은 불필요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균 침입을 막는 방어 기능을 합니다.
2. 정상적인 눈곱과 비정상 신호
- 정상: 투명하거나 연한 흰색, 양이 적고 하루 중 거의 사라짐.
- 비정상: 노란색·초록색(세균 감염 가능성), 과도하게 많은 양, 점성이 강하거나 악취 동반.
3. 눈곱 끼는 이유
- 정상적인 분비: 수면 중 눈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물 생성.
- 결막염: 세균, 바이러스, 알레르기 등에 의해 결막에 염증이 생겨 진득하고 많은 양의 눈곱이 낍니다.
- 안구 건조증: 눈물막 불안정으로 눈곱이 쉽게 형성됩니다.
- 비염·감기: 코와 눈은 눈물관으로 연결되어 있어, 비염이나 감기 시 눈곱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 다래끼: 눈꺼풀 기름샘에 염증이 생기면 고름과 함께 눈곱이 낍니다.
- 렌즈 위생 불량: 콘택트렌즈 오염 시 세균 번식이 빨라져 눈곱이 늘어납니다.
4. 눈곱 색깔로 보는 건강 상태
- 투명·흰색: 정상 범위
- 노란색: 세균 감염 가능성
- 초록색: 심한 염증 또는 세균 감염
- 붉은색: 혈관 손상, 외상
5. 대처 방법
- 아침 세안 시 미지근한 물로 부드럽게 제거
- 깨끗한 손수건이나 면봉으로 살살 닦기
- 감염 의심 시 손으로 눈을 비비지 않기
- 렌즈 위생 철저히 관리
6.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
- 노란색·초록색 눈곱이 며칠 이상 지속
- 심한 충혈, 통증, 시력 저하 동반
- 눈꺼풀 부종과 발열
7. 예방법
- 수면 전 화장과 이물질 깨끗이 제거
- 손 위생 철저히 지키기
- 실내 습도 유지와 인공눈물 사용
- 정기적인 안과 검진
눈곱 끼는 이유는 정상적인 생리 현상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색과 양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피고, 필요 시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리성 정체감 장애(DID) 증상과 원인 총정리 (0) | 2025.08.12 |
---|---|
눈 다래끼 원인, 전염 여부, 빨리 낫는 법 총정리 (0) | 2025.08.12 |
눈 결석 원인, 증상, 제거 방법 총정리 (0) | 2025.08.12 |
찬 거 먹고 배탈 머리아픔, 원인과 대처 방법 총정리 (0) | 2025.08.12 |
눈에 이물질이 낀 것 같은 증상, 원인과 대처 방법 (0) | 2025.08.11 |